🖋 방학에 시작하는 받아쓰기 학습, 3가지 방법과 추천 교재
방학이 한창이지만, 곧 개학이 다가옵니다. 이 시기는 1학기 동안 배운 어휘를 복습하고, 2학기 학습을 미리 준비하기 좋은 시기이죠. 그중에서도 받아쓰기는 저학년 국어 학습의 핵심 훈련이자, 방학 동안 충분히 집중해서 다질 수 있는 영역입니다.
받아쓰기는 단순히 받아 적는 연습 같아 보여도, 소리와 철자를 연결하고 맞춤법을 익히며 어휘력과 문장 이해력까지 길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오늘은 받아쓰기 학습을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소개하고, 각 유형에 맞는 추천 교재를 상세 버전으로 정리했습니다.
1. 교과서 연계형 받아쓰기
학교에서 배우는 국어 교과서 단원과 ‘급수표’에 맞춰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실제 학교 받아쓰기 시험과 내용이 동일하거나 매우 비슷해 실전 대비에 가장 유리합니다. 학교 수업과 겹치는 부분이 많아 준비 과정도 훨씬 수월하죠.
📚 추천교재: 학년 학기별 급수표 받아쓰기
저자: 콘텐츠연구소 수출판사: 스쿨존에듀
출판일: 2024년 12월 30일
ISBN: 9791192878355
쪽수: 100쪽
크기: 224×293×7mm
🎥 출판사 교재소개 영상 - 1학년 1학기 급수표 받아쓰기
📌 구매 링크
📖 책 소개
초등학교 입학하면 치르는 첫 시험, 받아쓰기!
‘급수표’를 기반으로 한 실제 학교 시험과 유사한 구성으로, 1학년 1학기 필수 어휘와 문장을 효율적으로 익힐 수 있습니다.
처음 치르는 받아쓰기 시험에 대비해 맞춤법 기초와 어휘력을 다지고, 높은 점수를 받아 자신감을 심어주는 데 도움을 줍니다.
-
실제 시험과 유사한 구성: 학교 급수표를 기반으로 한 단원별 구성
-
체계적 단계 학습: 어휘 반복·확장으로 안정적 학습 효과
-
부모 지도 용이: 불러주기와 채점이 편리한 레이아웃
-
학습 동기 강화: 높은 점수를 통해 자존감 향상
교과서 단원과 동일한 낱말·문장 구성
-
급수별 주 1회 학습 스케줄 제안
-
읽기·쓰기·연습시험의 3단계 반복 학습법
-
냉장고·책상 등에 붙여 활용 가능한 급수표 제공
2. 단계별 난이도형 받아쓰기
받침 없는 글자 → 받침 있는 글자 → 연음법칙 → 된소리되기 → 고급 음운 규칙 순으로 난이도를 점진적으로 높이는 설계입니다. 기초부터 고급 규칙까지 무리 없이 학습할 수 있습니다.📚 추천 교재: 기적의 받아쓰기 (1~4권 세트)
저자: 최영환
출판사: 길벗스쿨
출판일: 2020년 5월 20일
ISBN: 9791164062404
쪽수: 권당 160쪽 내외
크기: 210×280mm
📌 구매 링크
📖 책 소개
받아쓰기는 단순한 받아 적기가 아니라, 맞춤법과 어휘력, 문장 이해력을 종합적으로 다지는 학습입니다.
〈기적의 받아쓰기〉 시리즈는 초등 국어 교과서를 집필한 최영환 교수가 우리말 원리와 아이의 언어 습득 과정을 분석해 만든 국내 유일의 단계별 받아쓰기 프로그램입니다.
-
총 4권, 40단계 구성
-
쉽고 체계적인 난이도 설계: 받침 없는 글자 → 받침 글자 → 연음법칙 → 된소리되기 → 고급 음운 규칙
-
MP3 음원 제공: KBS 성우 녹음, 실제 시험 같은 긴장감
-
학부모 지도서 + 학생 워크북 별도 구성
📑 목차 (1~4권 전체)
1권
1장 받침이 없는 쉬운 음절
1단계 쉬운 모음과 자음이 있는 음절을 써요
2단계 어려운 자음이 있는 음절을 써요
3단계 헷갈리는 모음이 있는 음절을 써요
2장 받침이 있는 쉬운 음절
4단계 받침 ‘ㅇ, ㄹ, ㅁ’이 있는 음절을 써요
5단계 받침 ‘ㄱ, ㄴ, ㅂ’이 있는 음절을 써요
3장 받침이 없는 어려운 음절
6단계 모음 ‘ㅝ, ㅟ’를 구별해요
7단계 모음 ‘ㅒ, ㅖ, ㅢ’를 구별해요
8단계 모음 ‘ㅚ, ㅙ, ㅞ’를 구별해요
4장 받침이 있는 어려운 음절
9단계 받침과 어려운 모음이 있는 음절을 써요 ①
10단계 받침과 어려운 모음이 있는 음절을 써요 ②
2권
1장 연음법칙 ①
11단계 받침 ‘ㄹ, ㅁ’이 뒤로 넘어가요
12단계 받침 ‘ㄱ, ㄴ, ㅂ’이 뒤로 넘어가요
13단계 어려운 모음 아래 받침이 뒤로 넘어가요
2장 연음법칙 ②
14단계 받침 ‘ㅋ, ㄲ, ㅍ’이 뒤로 넘어가요
15단계 받침 ‘ㄷ, ㅅ, ㅆ, ㅈ, ㅊ, ㅌ’이 뒤로 넘어가요
3장 된소리되기 ①
16단계 받침 ‘ㄱ, ㄷ, ㅂ’ 때문에 된소리가 나요
17단계 받침 ‘ㄴ, ㄹ, ㅁ, ㅇ’ 때문에 된소리가 나요
18단계 어려운 모음 아래 받침 때문에 된소리가 나요
4장 된소리되기 ②
19단계 ‘ㅋ, ㄲ, ㅍ’ 때문에 된소리가 나요
20단계 ‘ㅅ, ㅆ, ㅈ, ㅊ, ㅌ’ 때문에 된소리가 나요
3권
1장 구개음화·거센소리되기
21단계 ‘ㄷ’을 ‘ㅈ’으로 발음해요
22단계 ‘ㅎ’ 뒤에서 거센소리가 나요
23단계 받침 때문에 ‘ㅎ’이 바뀌어요
2장 음절의 끝소리
24단계 받침을 ‘ㅂ’과 ‘ㄱ’으로 발음해요
25단계 받침을 ‘ㄷ’으로 발음해요
3장 자음동화
26단계 ‘ㄱ, ㄲ, ㅋ’의 발음이 달라져요
27단계 ‘ㄷ, ㅂ’의 발음이 달라져요
28단계 ‘ㄴ, ㄹ’의 발음이 달라져요
4장 틀리기 쉬운 것들
29단계 된소리로 쓰면 안 돼요
30단계 소리는 같지만 글자가 달라요
4권
1장 사이시옷
31단계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요
32단계 앞말에 ‘ㄴ’ 소리가 덧나요
33단계 앞말과 뒷말에 ‘ㄴ’ 소리를 두 번 붙여요
2장 겹받침 쓰기
34단계 받침이 두 개일 때 발음해요 ①
35단계 받침이 두 개일 때 발음해요 ②
3장 음운첨가
36단계 ‘ㄴ’ 소리를 넣어서 발음해요
37단계 ‘ㄹ’ 소리를 넣어서 발음해요
38단계 두 낱말 사이에 ‘ㄴ’이나 ‘ㄹ’을 넣어 발음해요
4장 외워야 할 것들
39단계 외워서 써야 해요
40단계 ‘이’나 ‘히’로 적어요
3. 어휘·속담·한자어 중심 받아쓰기
받아쓰기를 하면서 다양한 문장과 어휘를 접하고, 예문 속 어휘의 의미와 쓰임까지 함께 익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문맥 이해력과 맞춤법 기초를 동시에 다질 수 있습니다
📚 추천 교재: 뿌리깊은 초등국어 독해력 어휘편 (1~6단계)
저자: 마더팅 편집부
출판사: 마더팅
출판일: 2023년 11월 10일
ISBN: 9791168594166
쪽수: 총 1152쪽
크기: 225×300mm
📌 구매 링크
📖 책 소개
속담, 관용어, 사자성어, 고사성어를 받아쓰기와 함께 학습하며 어휘력을 집중적으로 키우는 교재입니다.단순 암기가 아니라 지문 독해와 함께 어휘의 의미·쓰임을 익히도록 구성되어, 실제 문맥 속에서 자연스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총 6단계로 나누어 속담 → 관용어 → 사자성어 순환 학습을 반복하며, 유래·예문·독해 문제·복습까지 포함한 완전 학습을 목표로 합니다.
-
총 6단계, 각 단계별 40회 분량
-
어휘력·배경지식·독해력 동시 강화
-
문맥 활용 예시로 이해도 향상
-
생활 속에서 속담·사자성어 적용 가능
📑 목차 (1~6단계 전체)
[1단계]
01회 [속담] 길고 짧은 것은 대어 보아야 안다
02회 [관용어] 진땀을 빼다
03회 [사자성어] 자화자찬(自畵自讚)
04회 [속담] 호랑이에게 물려 가도 정신만 차리면 산다
05회 [관용어] 귀에 못이 박히다
06회 [사자성어] 박장대소(拍掌大笑)
07회 [속담] 방귀 뀐 놈이 성낸다
08회 [관용어] 귀를 기울이다
09회 [고사성어] 어부지리(漁父之利)
10회 [속담] 우물 안 개구리
11회 [관용어] 간이 크다
12회 [사자성어] 다사다난(多事多難)
13회 [속담] 지렁이도 밟으면 꿈틀한다
14회 [관용어] 눈을 씻고 보다
15회 [사자성어] 십중팔구(十中八九)
16회 [속담] 공든 탑은 무너지지 않는다
17회 [관용어] 그림의 떡
18회 [사자성어] 견원지간(犬猿之間)
19회 [속담] 남의 떡이 더 커 보인다
20회 [관용어] 손에 잡힐 듯하다
21회 [사자성어] 감지덕지(感之德之)
22회 [속담] 도둑이 제 발 저리다
23회 [관용어] 식은 죽 먹기
24회 [사자성어] 애지중지(愛之重之)
25회 [속담] 일찍 일어나는 새가 벌레를 잡는다
26회 [관용어] 다리를 뻗고 자다
27회 [사자성어] 구사일생(九死一生)
28회 [속담] 구르는 돌에는 이끼가 끼지 않는다
29회 [관용어] 귀가 가렵다
30회 [사자성어] 좌충우돌(左衝右突)
31회 [속담] 불난 집에 부채질 한다
32회 [관용어] 배가 아프다
33회 [사자성어] 동문서답(東問西答)
34회 [속담]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35회 [관용어] 눈도 깜짝 안 하다
36회 [사자성어] 백발백중(百發百中)
37회 [속담]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38회 [관용어] 바람을 넣다
39회 [사자성어] 우왕좌왕(右往左往)
40회 [속담]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데 팥 난다
[2단계]
01회 [속담]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
02회 [관용어] 발목을 잡다
03회 [사자성어] 대동소이(大同小異)
04회 [속담] 닭 잡아먹고 오리 발 내민다
05회 [관용어] 쪽박을 차다
06회 [사자성어] 일확천금(一攫千金)
07회 [속담] 바늘 도둑이 소도둑 된다
08회 [관용어] 파김치가 되다
09회 [사자성어] 자포자기(自暴自棄)
10회 [속담]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힌다
11회 [관용어] 기가 막히다
12회 [고사성어] 일거양득(一擧兩得)
13회 [속담] 가재는 게 편
14회 [관용어] 발 벗고 나서다
15회 [사자성어] 무용지물(無用之物)
16회 [속담] 호랑이도 제 말 하면 온다
17회 [관용어] 귀가 번쩍 뜨이다
18회 [사자성어] 천방지축(天方地軸)
19회 [속담] 달걀로 바위 치기
20회 [관용어] 코가 납작해지다
21회 [사자성어] 자업자득(自業自得)
22회 [속담] 닭 쫓던 개 지붕 쳐다본다
23회 [관용어] 줄행랑을 치다
24회 [사자성어] 횡설수설(橫說竪說)
25회 [속담] 꼬리가 길면 밟힌다
26회 [관용어] 어깨가 무겁다
27회 [사자성어] 화기애애(和氣靄靄)
28회 [속담] 무심코 던진 돌에 개구리가 맞아 죽는다
29회 [관용어] 가슴이 찔리다
30회 [사자성어] 배은망덕(背恩忘德)
31회 [속담] 목마른 사람이 우물을 판다
32회 [관용어] 발이 넓다
33회 [사자성어] 인산인해(人山人海)
34회 [속담] 벼 이삭은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
35회 [관용어] 손이 맞다
36회 [고사성어] 십시일반(十匙一飯)
37회 [속담] 병 주고 약 준다
38회 [관용어] 입이 딱 벌어지다
39회 [사자성어] 천생연분(天生緣分)
40회 [속담]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3단계]
01회 [속담] 뛰는 놈 위에 나는 놈 있다
02회 [관용어] 눈살을 찌푸리다
03회 [사자성어] 백전백승(百戰百勝)
04회 [속담]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
05회 [관용어] 낯이 두껍다
06회 [사자성어] 시시비비(是是非非)
07회 [속담] 쥐구멍에도 볕 들 날 있다
08회 [관용어] 손을 놓다
09회 [사자성어] 엄동설한(嚴冬雪寒)
10회 [속담] 수박 겉 핥기
11회 [관용어] 속이 타다
12회 [사자성어] 자수성가(自手成家)
13회 [속담] 아니 땐 굴뚝에는 연기가 나지 않는다
14회 [관용어] 목이 빠지게 기다리다
15회 [사자성어] 산해진미(山海珍味)
16회 [속담] 우물을 파도 한 우물만 파라
17회 [관용어] 한술 더 뜨다
18회 [사자성어] 일사천리(一瀉千里)
19회 [속담] 천 리 길도 한 걸음부터
20회 [관용어] 입을 닦다
21회 [사자성어] 용두사미(龍頭蛇尾)
22회 [속담]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
23회 [관용어] 바가지를 쓰다
24회 [사자성어] 천차만별(千差萬別)
25회 [속담] 제 꾀에 제가 넘어간다
26회 [관용어] 콧대가 높다
27회 [사자성어] 반신반의(半信半疑)
28회 [속담] 산 넘어 산이다
29회 [관용어] 귀가 얇다
30회 [사자성어] 천신만고(千辛萬苦)
31회 [속담] 물에 빠진 놈 건져 놓으니 보따리 내놓으라 한다
32회 [관용어] 풀이 죽다
33회 [사자성어] 만장일치(滿場一致)
34회 [속담] 입에 쓴 약이 몸에 좋다
35회 [관용어] 혀를 내두르다
36회 [사자성어] 다재다능(多才多能)
37회 [속담] 마른하늘에 날벼락
38회 [관용어] 눈코 뜰 사이 없다
39회 [사자성어] 칠전팔기(七顚八起)
40회 [속담]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진다
[4단계]
01회 [속담] 티끌 모아 태산
02회 [사자성어] 전전긍긍(戰戰兢兢)
03회 [관용어] 찬물을 끼얹다
04회 [속담]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른다
05회 [관용어] 입만 아프다
06회 [고사성어] 조삼모사(朝三暮四)
07회 [속담] 말 한마디에 천 냥 빚도 갚는다
08회 [관용어] 걸음마를 떼다
09회 [고사성어] 유비무환(有備無患)
10회 [속담]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너라
11회 [관용어] 입에 달고 다니다
12회 [사자성어] 유구무언(有口無言)
13회 [속담] 꿩 대신 닭
14회 [관용어] 무릎을 치다
15회 [고사성어] 소탐대실(小貪大失)
16회 [속담] 꿈보다 해몽이 좋다
17회 [관용어] 뜸을 들이다
18회 [고사성어] 사면초가(四面楚歌)
19회 [속담] 새 발의 피
20회 [관용어] 게 눈 감추듯
21회 [사자성어] 허송세월(虛送歲月)
22회 [속담]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그랴
23회 [관용어] 가슴이 미어지다
24회 [사자성어] 전화위복(轉禍爲福)
25회 [속담] 백 번 듣는 것이 한 번 보는 것만 못하다
26회 [관용어] 손에 익다
27회 [고사성어] 모순(矛盾)
28회 [속담] 작은 고추가 더 맵다
29회 [관용어] 트집을 잡다
30회 [고사성어] 전무후무(前無後無)
31회 [속담] 감나무 밑에 누워서 홍시 떨어지기를 기다린다
32회 [관용어] 이를 악물다
33회 [고사성어] 오리무중(五里霧中)
34회 [속담] 고인 물이 썩는다
35회 [관용어] 독 안에 든 쥐
36회 [사자성어] 환골탈태(換骨奪胎)
37회 [속담] 가지 많은 나무에 바람 잘 날 없다
38회 [관용어] 눈 밖에 나다
39회 [사자성어] 불철주야(不撤晝夜)
40회 [속담] 다 된 밥에 재 뿌리기
[5단계]
01회 [속담] 목구멍이 포도청
02회 [관용어] 빛을 발하다
03회 [고사성어] 대기만성(大器晩成)
04회 [속담]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05회 [관용어] 바닥이 드러나다
06회 [고사성어] 다다익선(多多益善)
07회 [속담]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
08회 [관용어] 오지랖이 넓다
09회 [고사성어] 고진감래(苦盡甘來)
10회 [속담]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
11회 [관용어]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다
12회 [고사성어] 새옹지마(塞翁之馬)
13회 [속담] 열 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
14회 [관용어] 꽁무니를 빼다
15회 [사자성어] 학수고대(鶴首苦待)
16회 [속담] 내 코가 석 자
17회 [관용어] 쐐기를 박다
18회 [고사성어] 우공이산(愚公移山)
19회 [속담] 하늘의 별 따기
20회 [관용어] 하늘이 노랗다
21회 [사자성어] 허심탄회(虛心坦懷)
22회 [속담] 어물전 망신은 꼴뚜기가 시킨다
23회 [관용어] 급한 불을 끄다
24회 [고사성어] 각주구검(刻舟求劍)
25회 [속담] 비 온 뒤에 땅이 굳어진다
26회 [관용어] 화가 머리끝까지 나다
27회 [고사성어] 배수진(背水陣)
28회 [속담] 콩으로 메주를 쑨다 해도 안 믿는다
29회 [관용어] 눈 뜨고 볼 수 없다
30회 [사자성어] 상부상조(相扶相助)
31회 [속담] 아 다르고 어 다르다
32회 [관용어] 간에 기별도 안 가다
33회 [사자성어] 개과천선(改過遷善)
34회 [속담] 굼벵이도 구르는 재주가 있다
35회 [관용어] 불 보듯 뻔하다
36회 [고사성어] 형설지공(螢雪之功)
37회 [속담] 산 입에 거미줄 치랴
38회 [관용어] 빙산의 일각
39회 [사자성어] 명실상부(名實相符)
40회 [속담] 모르는 게 약, 아는 게 병
[6단계]
01회 [속담] 울며 겨자 먹기
02회 [관용어] 밑도 끝도 없다
03회 [고사성어] 와신상담(臥薪嘗膽)
04회 [속담] 개구리 올챙이 적 생각 못한다
05회 [관용어] 눈에 밟히다
06회 [사자성어] 과유불급(過猶不及)
07회 [속담] 소귀에 경 읽기
08회 [관용어] 눈독을 들이다
09회 [고사성어] 백미(白米)
10회 [속담] 모난 돌이 정 맞는다
11회 [관용어] 판도라의 상자를 열다
12회 [고사성어] 결초보은(結草報恩)
13회 [속담] 발 없는 말이 천 리 간다
14회 [관용어] 마침표를 찍다
15회 [사자성어] 구우일모(九牛一毛)
16회 [속담] 우물에 가 숭늉 찾는다
17회 [관용어] 간담이 서늘하다
18회 [고사성어] 화룡점정(畵龍點睛)
19회 [속담] 물에 빠지면 지푸라기라도 잡는다
20회 [관용어] 성에 차다
21회 [사자성어] 삼고초려
22회 [관용어] 자취를 감추다
23회 [속담] 거미도 줄을 쳐야 벌레를 잡는다
24회 [사자성어] 태평성대(太平聖代)
25회 [속담] 개밥에 도토리
26회 [관용어] 획을 긋다
27회 [고사성어] 이심전심(以心傳心)
28회 [속담] 팔은 안으로 굽는다
29회 [관용어] 해가 서쪽에서 뜨다
30회 [사자성어] 일취월장(日就月將)
31회 [속담]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32회 [관용어] 날개가 돋친 듯하다
33회 [사자성어] 사족
34회 [속담] 죽 쑤어 개 준다
35회 [관용어] 속이 검다
36회 [고사성어] 기우(奇遇)
37회 [속담] 호박이 넝쿨째로 굴러떨어지다
38회 [관용어] 마음에 두다
39회 [사자성어] 설상가상(雪上加霜)
40회 [속담] 소 뒷걸음치다 쥐 잡는다
✍ 마무리
받아쓰기는 단순 받아 적기가 아니라, 맞춤법과 어휘력, 그리고 국어 감각을 다지는 중요한 학습입니다.
아이의 현재 수준과 목적에 맞춰 교과서 연계형, 단계별 난이도형, 어휘 중심형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병행하면 더 효과적입니다.
방학이나 학기 초처럼 비교적 여유 있는 시기에 시작해 꾸준히 실력을 키워보세요.
댓글
댓글 쓰기